전남 '귀농어촌인' 유입 긍정 효과...정착 정책 마련 필요

이재호 | 기사입력 2022/07/18 [14:51]
전남 '귀농어촌인' 유입 긍정 효과...정착 정책 마련 필요
이재호 기사입력  2022/07/18 [14:51]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이재호

농어촌을 중심으로 인구 구조적 문제를 겪고 있는 전남지역은 귀농·귀어·귀촌을 통해 고령화, 지방소멸 위험 등을 줄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지만 이들의 안정적인 유입과 정착을 위해서는 지역 특징을 반영한 내실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8일 김미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경제조사팀 과장과 김지은 조사역이 제공한 '전남지역 귀농귀촌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신규 귀농·귀촌인 수는 통계작성 시점인 2013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 매년 4만명 정도 유입되고 있으며, 지난해 귀농·귀어·귀촌인은 4만6563명으로 귀촌인 4만2621명(91.5%), 귀농 4353명(7.4%)귀어인 499명(1.1%)순으로 집계됐다. 

 

2021년 전남 귀농인은 2013년(2800명)대비 23.7% 증가해 증가폭 기준으로 가장 많았고, 귀어인은 2013년(250명)대비 98.0%증가해 가장 많이 증가했다. 

 

반면 귀촌인은 4만3000명으로 2013년 4만명에 비해 소폭 증가했으나 7개 도 가운데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전남지역 귀농인은 농업 여건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지역인 고흥, 무안, 순천, 보성, 나주 등에 집중됐고,이들 지역은 2013년 대비 귀농인 수도 타 지역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귀촌인이 많은 지역은 무안(전남 귀촌인의 15.3%) ▲ 순천(11.6%) ▲광양(9.0%) ▲담양(6.4%) ▲ 화순(6.2%) ▲여수(6.0%) ▲나주(5.1%) 순이며, 주로 광주·목포 인근 지역 및 순천, 여수 등 도시 근방에 집중됐다.

 

귀농·귀촌인 중 외지인(광주전남 이외 지역에서 이동한 사람) 비율은 2021년 기준 귀어(43.3%)가 가장 높고 귀농(43.2%), 귀촌(30.9%) 순서이며, 외지인 비율은 대체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특히 귀농인 중 외지인 비율은 2013년에는 51.4%에 달했으나 2021년에는 43.2%로 하락했다.

 

귀농 이유로는 부모·자녀, 친척 또는 지인이 살고 있는 연고지가 42.2%로 가장 높았고,'이전에 살던 곳 근처'라는 응답이 26.8%를 차지했다. 

 

귀촌 이유로는 이전 근무지 근처(19.6%)연고지(17.5%)등의 순이었다.

 

전남지역 귀농·귀어· 귀촌은 지방소멸 위험 및 농어촌 지역 고령화 완화(2021년 고령화율 약 1.3%포인트 낮춘 것으로 추정),출산율 상승 등 긍정적 효과와 농촌 융복합산업화 성공 사례 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미주 과장은  "귀농인의 농가소득 증대 방안 모색, 정주여건 개선,귀농·귀촌 관련 통계 개선 및 확충 등 이들의 안정적인 유입과 정착을 위해서는 지역 특징을 반영한 내실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필자의 다른기사메일로 보내기인쇄하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호남경제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주간베스트 TOP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