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디지털 시민 서포터즈가 광주광역시 무지개지역아동센터에서 초등학생 대상 디지털 시민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 이재호
|
KT 전남·북광역본부는 디지털 전환으로 편의성이 커진 만큼 부작용도 증가함에 따라 호남지역의 건강한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KT는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디지털 세상을 구현하고 디지털 기술을 잘 활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건강한 디지털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난해 12월 22개 전문기관과 함께 '디지털 시민 One-Team'을 출범한 바 있다.
KT 전남·북광역본부는 디지털 안전·공존·책임을 핵심가치로 우리지역 디지털 보급 특성에 맞춰 '디지털 교육·안전·피해예방'등 3개 분과를 구성해 디지털 시민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교육 분과에서는 ▲아동의 올바른 디지털 마인드 확립을 위한 디지털 명탐정 과정 ▲어르신 디지털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키오스크/스마트폰 활용 교육/IT를 활용한 치매예방교육 ▲목포제일정보중고등학교와 전남대 학생을 랜선으로 연결해 고령자 만학도들의 수능을 대비하는 디지털 지원교육 ▲노사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다문화가정 아동 랜선 한국어 교실을 추진 할 예정이다.
이달 6일부터 시작 된 '디지털 명탐정'교육은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사이버 폭력 예방교육으로 학생 스스로 디지털 시민 명탐정이 되어 사이버 언어 폭력, 악성 댓글과 같은 디지털 세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주도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으며 AI 스피커(기가지니)와 전용 교구 등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디지털 피해 대응력을 기를 수 있어 교육 관계자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디지털 안전 분과는 KT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한 Digital Life를 구축하는 것으로, 고령층 등 취약계층을 위해 우리지역에서 처음 시작한 AI 기술 활용 복지 서비스인 'AI 케어서비스'가 대표적이다.
KT전남북광역본부는 지난 15일 이정화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교수 연구팀과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울감 63.5% 감소, 고독감 65.9% 감소라는 긍정적 효과가 입증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 피해예방 분과는 디지털 시민 서포터즈 전문인력을 확보하여 교육청과 연계한 학부모 대상 '자녀 사이버 폭력 예방' 특강을 4월부터 진행하며, 경로당광역지원센터와 함께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보이스 피싱 예방 교육과 피해 구제 교육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지정용 KT 전남·북광역본부 전무는 "KT는 그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ESG 활동을 꾸준히 실천해왔고 그 경험과 역량이 있다"며, "누구나 안전한 디지털 생활을 차별 없이 누릴 수 있도록 격차해소를 위한 교육지원과 더불어 디지털 피해 예방과 피해자 일상회복까지 지원하는 사회적 책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